맨위로가기

스타더스트 (우주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더스트는 1999년 발사된 NASA의 혜성 탐사선으로, 2004년 빌트 2 혜성에서 먼지를 채취하고 지구로 귀환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탐사선은 록히드 마틴이 제작했으며, 혜성 핵과 코마의 고해상도 사진을 전송하고 성간 우주 먼지를 채집하는 임무도 수행했다. 스타더스트는 2006년 표본 회수 캡슐을 지구로 귀환시켰으며, 2011년에는 템펠 1 혜성을 재방문하는 연장 임무(NExT)를 수행했다. 이 임무를 통해 혜성의 변화를 관측하고, 딥 임팩트 충돌구의 사진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2011년 연료 소진으로 임무가 종료되었으며, 혜성 표본 분석 결과 초기 태양계 외부 지역의 물질 이동과 생명체의 기본 구성 성분인 글라이신의 존재를 확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우주 개발 - 마스 폴라 랜더
    마스 폴라 랜더는 1999년 화성 남극 착륙을 시도했으나 통신 두절로 실패한 미국의 탐사선이다.
  • 1999년 우주 개발 - 딥 스페이스 2호
    딥 스페이스 2호는 NASA의 뉴 밀레니엄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화성 탐사선으로, 화성 표면 충돌 후 지하 탐사 및 물 또는 얼음 확인을 목표했으나 통신 두절로 임무에 실패했다.
  • 1999년 2월 - 볼리바르 혁명
    볼리바르 혁명은 1998년 우고 차베스 대통령 당선 이후 베네수엘라에서 시몬 볼리바르의 사상에 기반하여 반미주의, 라틴 아메리카 통합, 사회주의 경제 모델을 추구한 좌파 포퓰리즘 정치, 사회 개혁 운동이었으나, 차베스 사후 경제 위기 심화, 인권 탄압 등으로 쇠퇴했다.
  • 1999년 2월 - 제4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1999년에 개최된 제4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안헬라 몰리나가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테렌스 맬릭 감독의 《씬 레드 라인》이 황금곰상을 수상했으며, 다양한 국가의 영화들이 경쟁 부문에서 경쟁했고, 일본 영화가 파노라마 부문에서 상영되었다.
  • 1999년 발사한 우주선 - 무궁화 3호
    대한민국이 운용한 무궁화 3호는 Ku/Ka 밴드 중계기를 통해 위성 방송과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매각 과정에서 불법 논란과 국제 분쟁을 겪은 후 현재는 ABS-7로 이름이 변경되어 운용되고 있다.
  • 1999년 발사한 우주선 - 마스 폴라 랜더
    마스 폴라 랜더는 1999년 화성 남극 착륙을 시도했으나 통신 두절로 실패한 미국의 탐사선이다.
스타더스트 (우주선)
탐사선 정보
스타더스트가 빌트 2 혜성에서 먼지 입자를 수집하는 모습 (상상도)
스타더스트가 빌트 2 혜성에서 먼지 입자를 수집하는 모습 (상상도)
이름스타더스트
다른 이름디스커버리 4
스타더스트-NExT
임무 종류표본 회수
운영 기관NASA/JPL
제작사록히드 마틴
워싱턴 대학교
웹사이트solarsystem.nasa.gov
임무 기간작업 시작: 1999년 2월 7일
종료: 2011년 3월 24일
스타더스트: 1999년 2월 7일 ~ 2006년 1월 15일
NExT: 2007년 1월 17일 ~ 2011년 3월 24일
우주선 버스SpaceProbe
발사 질량385 kg
건조 질량305.397 kg
크기버스: 5.6 x 2.16 x 2.16 ft (미터로 환산)
전력330 W (태양 전지판 / 니켈-수소 전지)
발사 정보
발사일1999년 2월 7일 21:04:15.238 UTC
발사체델타 II 7426-9.5, D-266
발사 장소케이프커내버럴 SLC-17
발사 계약자록히드 마틴 스페이스 시스템즈
임무 종료 정보
폐기 유형퇴역
비활성화우주선: 2011년 3월 24일 23:33 UTC
착륙일캡슐: 2006년 1월 15일 10:12 UTC
착륙 장소유타 시험 훈련장
행성 간 조우
행성지구
유형근접 통과
도착일2001년 1월 15일 11:14:28 UTC
거리6008 km
행성소행성 5535 안네프랑크
유형근접 통과
도착일2002년 11월 2일 04:50:20 UTC
거리3079 km
행성빌트 2
유형근접 통과
도착일2004년 1월 2일 19:21:28 UTC
거리237 km
행성지구
유형근접 통과 (샘플 회수)
도착일2006년 1월 15일
행성지구
유형근접 통과
도착일2009년 1월 14일 12:33 UTC
거리9157 km
행성템펠 1
유형근접 통과
도착일2011년 2월 15일 04:39:10 UTC
거리181 km
탑재 장비
CIDA혜성 및 성간 먼지 분석기 (Comet and Interstellar Dust Analyzer)
DFMI먼지 플럭스 모니터 장비 (Dust Flux Monitor Instrument)
SSC스타더스트 샘플 수집 (Stardust Sample Collection)
DSE동역학 과학 실험 (Dynamic Science Experiment)
NavCam항법 카메라 (Navigation Camera)
프로그램 정보
프로그램디스커버리 계획
이전 임무루나 프로스펙터
다음 임무제네시스
휘장

2. 임무 배경

1980년대 초부터 과학자들은 혜성 연구를 위한 전용 임무를 모색했다. 1990년대 초, 핼리 혜성 탐사가 근접 데이터를 제공하며 성공했지만, 미국의 혜성 랑데부 소행성 플라이바이 임무는 예산 문제로 취소되었다. 1990년대 중반, NASA는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04년 와일드 2 혜성 연구를 위한 저비용 임무를 지원했다.

''스타더스트''는 1995년 가을, NASA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의 저비용 임무로 선정되었다. 1996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행성 보호 레벨 5 등급을 받았다. 에어로젤에 고속으로 충돌하는 입자는 미생물에게 치명적일 것으로 판단되어, 행성 간 오염 위험은 낮게 평가되었다.

와일드 2목성의 중력으로 1974년 궤도가 변경되어 태양에 가까워진 장주기 혜성으로, 초기 물질이 잘 보존되었을 것으로 예상되어 주요 목표로 선정되었다.

임무의 주요 과학적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 에어로젤 포집기로 혜성 먼지를 손상 없이 포집할 수 있도록 6.5 km/s 미만의 속도로 와일드 2를 통과하는 것.
  • 동일한 포집 매체로 성간 먼지 입자를 최대한 낮은 속도로 포착하는 것.
  • 비용 제약 내에서 고해상도 혜성 코마 및 핵 이미지를 최대한 많이 확보하는 것.


우주선은 콜로라도 주 덴버의 록히드 마틴에서 설계, 제작 및 운영되었다. NASA 부서의 임무 운영 관리는 제트 추진 연구소(JPL)에서 담당했다. 워싱턴 대학교의 도널드 브라운리 박사가 수석 연구원이었다.

2. 1. 역사

1980년대부터 과학자들은 혜성 연구를 위한 전용 임무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 초, 핼리 혜성에 대한 최초의 근접 탐사가 성공했지만, 미국의 "혜성 랑데부 소행성 플라이바이" 임무는 예산 문제로 취소되었다.[13] 1990년대 중반, NASA는 저비용 디스커버리급 미션의 일환으로 스타더스트 임무를 선정했다. 1995년 가을, 스타더스트 임무는 경쟁을 통해 선정되었고, 1996년에 제작이 시작되었다.[13]

행성 보호 조치에 따라 행성오염 방지수준 5등급으로 추진되었으며, 에어로젤 채집기에 의한 생명체 오염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되었다.[14] 시속 1600km로 부딪힐 예정이어서 어떤 미생물도 죽을 것으로 판단되었다.[13]

빌트 2 혜성은 1974년 목성의 중력에 의해 궤도가 변경되어 태양에 가까워진 장주기 혜성으로, 초기 물질이 잘 보존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주요 탐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13]

스타더스트는 1999년 2월 7일에 발사되어 지구 궤도를 넘는 첫 번째 궤도에 진입했다. 델타 II 로켓빌트 2 혜성에 직접 도달할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2001년 1월에 지구 스윙바이를 통해 가속했다.

2004년 1월 2일에는 혜성의 꼬리 속으로 들어가 코마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사진을 촬영했다.[2] 2002년 11월 2일에는 소행성 안네 프랑크에 3,300 km까지 접근했다.[3] 2000년 3~5월과 2002년 7~12월에는 에어로젤 수집기로 성간 물질을 수집했다.

시료 물질 캡슐은 2006년 1월 15일에 유타 주의 그레이트솔트호 사막에 있는 더그웨이 성능 시험장에 착륙했다.[4] 캡슐은 초속 12.9 km로, 인류가 만든 물체 중 사상 최속으로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했다. 회수된 우주 먼지는 2009년 현재도 분석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감람석과 글리신 등이 발견되었다. 2014년 8월 14일에는, NASA가 분석 결과를 보고, 태양계 외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 우주 먼지가 7개 발견되었다고 발표했다.[5]

스타더스트 본체는 지구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기동을 했다. 남은 연료는 20kg 미만이었다. 1월 29일, 다음 지구 근접 비행인 2009년 1월 14일까지 태양 전지와 수신기만 작동시키는 대기 모드로 들어갔다.[6]

2. 2. 임무 목표

스타더스트 임무의 주요 과학적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15]

  • 에어로젤 수집기를 사용하여 6.5 km/s 이하의 낮은 속도로 혜성에 근접 통과하여 혜성 먼지를 채집한다.
  • 에어로젤 수집기를 사용하여 최저 속도로 성간 우주먼지를 채집한다.
  • 혜성 핵과 코마의 고해상도 사진을 가능한 한 많이 전송한다.


와일드 2 혜성은 태양에 가깝게 접근한 적이 있는 장주기 혜성을 관찰할 수 있는 드문 기회를 제공했기 때문에 임무의 주요 목표로 선정되었다. 1974년 와일드 2의 궤도가 목성의 중력에 의해 영향을 받아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단주기 혜성이 되었는데, 임무 계획 당시 혜성을 형성하는 대부분의 원래 물질이 여전히 보존될 것으로 예상되었다.[13]

2. 3. 탐사선 설계

탐사선 본체는 록히드 마틴이 우주 환경에 알맞도록 설계했으며, 길이 1.7m, 폭 0.66m의 크기이다. 알루미늄 벌집 구조와 탄소 섬유로 구성되었고, 폴리사이아네이트와 캡톤 덮개로 보호되었다. 저비용을 위해 소형 우주선 계획(SSTI)의 기술과 과거 임무의 기술을 활용했다.[16]

2. 3. 1. 자세 제어 및 추진

탐사선에는 3축 안정 방식으로 4.41 N의 힘을 내는 하이드라진 단일 추진제 로켓 8개와 자세 제어용인 1N짜리 로켓 8개가 실려있었다. 이 8개의 로켓들은 자세 제어는 물론 궤도 조정 때에도 쓰였다. 탐사선은 80 kg 무게의 단일 추진제와 같이 발사되었다. 탐사선의 위치와 자세에 대한 정보는 별추적기와 자이로스코프, 두 개의 태양 감지계를 사용해서 얻었다.[13]

2. 3. 2. 통신

탐사선은 NASA의 심우주 통신망을 사용하였다. 심우주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0.6m 포물선형 고이득 안테나와 중이득 안테나(MGA), 저이득 안테나(LGA)를 사용해 X 대역 신호를 보냈고, 원래 카시니-하위헌스 탐사선에 실릴 예정이었던 15와트짜리 트랜스폰더도 실렸다.[13]

2. 3. 3. 전력

탐사선은 평균 330와트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판 두 개에서 전기를 공급받았다.[13] 이 전지판들은 빌트 2 혜성을 통과할 때 매끄러운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휘플 범퍼도 가지고 있었다.[13] 태양 전지판은 작은 우주선 기술 계획(SSTI)에서 유래했다. 태양과의 거리에 따라 일련의 전지들을 전환하는 독특한 방법을 사용했다. 또한 니켈 수소 전지 하나는 태양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태양 전지판이 전기를 만들 수 없을 때 사용하기 위해 실렸다.[13]

2. 3. 4. 컴퓨터

탐사선의 컴퓨터는 32비트 방사선 강화 프로세서 카드인 IBM RAD6000을 사용했다. 탐사선이 지구와 통신할 수 없을 때, 자료 저장 장치는 128 메가바이트를 저장할 수 있었는데, 이는 전체 탐사선 소프트웨어 중 20%를 차지하는 용량이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Wind River Systems에서 개발한 임베디드 운영 체제 형식인 VxWorks였다.[13][16]

2. 3. 5. 과학 장비

탐색용 카메라


탐색용 카메라(Navigation Camera, NC 또는 NAVCAM)는 빌트 2 혜성을 지나쳐갈 때 목표를 잡기 위해 사용되었다. 검출 필터를 사용해 흑백 사진을 찍어서 특정 가스와 먼지가 방출되는지를 조사했다. 또한 다양한 위상각으로 사진을 찍었는데, 핵 표면의 기원, 형태나 광물의 비균일성을 이해하기 위한 3차원 모형을 만들기 위해서였다. 이 카메라의 광학 장비는 보이저 계획에서 사용되었던 광각 카메라의 부품을 사용했다.[17][18]

혜성 및 성간 먼지 분석기


혜성 및 성간 먼지 분석기(Cometary and Interstellar Dust Analyzer, CIDA)는 특정 화합물이나 원소를 검출하거나 먼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해 질량 분석기가 실렸다. 입자들은 충돌판에 부딪힌 후 관을 타고 검출기로 향한다. 검출기는 각각의 이온들이 움직일 때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질량을 알아낼 수 있었다. 동일한 장치가 지오토 (우주선)베가 탐사선에 실렸다.[19][20]

먼지 유출 모니터링 기기


먼지 유출 모니터링 기기(Dust Flux Monitor Instrument, DFMI)는 탐사선의 앞쪽에 있는 휘플 범퍼에 위치해 있는 측정 장치로, 빌트 2 혜성 주변 먼지의 유출 속도와 밀도를 측정한다. 이 장치는 몇 밀리미터 크기의 고에너지 입자들에 의해 공격받는 특수 편광 플라스틱 센서(PVDF)를 이용해 전기 신호를 생성해 자료를 기록한다.[21][22]

스타더스트 표본 모음집


스타더스트 표본 모음집(Stardust Sample Collection, SSC)은 탐사선이 빌트 2 혜성의 코마를 통과할 때 실리콘계 물질이면서 저밀도인 에어로젤을 사용해서 입자들을 붙잡는다. 표본 수집을 완료하게 되면, 수집기는 통째로 표본 회수 캡슐 안에 넣어져 지구의 대기권으로 진입한다. 표본 캡슐은 지구 표면에서 회수되어 연구될 것이다.[23][24]

역동적 과학 실험장치(Dynamic Science Experiment, DSE)는 X 대역 원격 통신 시스템을 이용해 빌트 2 혜성의 질량을 결정했다. 부차적 관성 측정부는 탐사선에 크게 충돌하는 입자를 추정하기 위해 이용된다.[25][26]

2. 3. 6. 표본 채집

혜성 먼지와 항성간 먼지는 밀도가 매우 낮은 에어로젤에 채집되었다. 테니스 라켓 크기의 수집기에는 90개의 에어로젤이 부착되어 총 1000 제곱센티미터의 면적을 가지고 있었다. 이 수집기는 혜성 먼지와 항성간 먼지를 에어로젤 안에 가두는 역할을 했다.

입자 채집을 위해 사용된 에어로젤은 실리콘 기반 물질로, 내부의 99.8%가 비어 있는 스펀지와 같은 구조를 가졌다. 에어로젤은 유리 밀도의 1000분의 1 정도로 매우 낮아, 다른 실리콘 물질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입자가 에어로젤에 충돌하면 입자 크기의 200배에 달하는 긴 흔적을 남긴다. 이 에어로젤은 표본 회수 캡슐(SRC)에 담겨 2006년 지구로 돌아왔다.

에어로젤에 포획된 성간 먼지를 분석하기 위해 100만 개에 달하는 사진 속 입자 흔적을 분석해야 했다. 이 작업은 그리드 컴퓨팅 프로젝트인 Stardust@home을 통해 일반인들의 참여로 이루어졌다. 2014년 4월, NASA은 스타더스트가 회수한 7개의 성간 먼지 입자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27]

2. 4. 스타더스트 마이크로칩

1997년 말부터 1998년 중반까지 인터넷을 통해 참여한 100만 명 이상의 이름이 새겨진 실리콘 웨이퍼 두 세트가 탑재되었다. 이 웨이퍼는 한 변의 길이가 10.16cm인 정사각형 모양이다. 마이크로칩 한 개는 본체에, 다른 한 개는 표본 회수 캡슐에 부착되었다.[13]

3. 임무 계획

스타더스트는 1999년 2월 7일 델타 II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발사 후 탐사선은 태양 주위 궤도에 진입하여 2001년 지구 중력 도움을 받았고, 2002년에는 소행성 안네프랑크를, 2004년에는 빌트 2를 통과했다.[13][15]

2004년, 탐사선은 궤도를 조정하고 캡슐을 분리하여 2006년에 보너빌호 지역으로 표본 캡슐을 보냈다.[13][15] 캡슐 분리 직후, 스타더스트는 "착륙 기동" 상태에 들어가 탐사선이 대기권으로 다시 진입하지 않도록 궤도를 변경했다. 2004년 1월 19일부터 탐사선은 태양 전지판과 통신기를 최대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3년 동안 태양 중심 궤도를 돌다가 2009년 1월 14일 다시 지구 근처에 올 때를 대비했다.[15][28]

2007년 11월 3일, 템펠 1을 근접 통과하는 연장 계획(NExT)이 승인되었다. 이는 태양계 소천체를 다시 방문하는 첫 사례였다.[29]

스타더스트의 주요 목적은 빌트 2 혜성템펠 1 혜성을 탐사하는 것이었다.[15] 빌트 2 혜성 탐사는 태양에 근접한 장주기 혜성을 관찰할 드문 기회였다. 1974년 목성의 중력에 영향을 받아 혜성의 궤도가 안쪽으로 바뀌면서 단주기 혜성이 되었기 때문이다.

스타더스트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았다.


  • 6.5km 이하의 속도로 혜성에 접근하여 에어로젤 수집기로 먼지를 채집한다.
  • 최저 속도로 이동하며 에어로젤 수집기를 통해 성간 우주먼지를 채집한다.
  • 가능한 많이 혜성 핵과 코마의 고해상도 사진을 전송한다.


2006년 3월, 과학자들은 2005년 딥 임팩트가 충돌시킨 템펠 1 혜성을 다시 탐사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딥 임팩트가 충돌로 발생한 먼지 때문에 충돌 지점의 사진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2007년 7월, '템펠 1을 향하는 새로운 탐사'(NExT)로 명명된 확장 임무가 승인되었다.[29] 이 탐사는 혜성이 태양에 가까이 접근한 후 발생하는 변화를 관찰하고, 템펠 1의 지도를 작성하여 혜성 핵의 지질학적 의문점을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29]

임무의 시간 순서는 다음과 같다.[15][30]

날짜사건
1999년 2월 7일협정 세계시 21시 4분 15초에 탐사선 발사
2000년 5월 1일표본 수집 시험 가동
2001년 1월 15일지구와 가장 가깝게 접근 (약 6000km), 남동 아프리카 남쪽 끝 지점 통과.[31]
2002년 4월 18일우주 개발의 새로운 기록 달성: 태양 전지로 가동되는 물체 중 가장 멀리 나아감 (2.72 천문단위)
2002년 11월 2일5535 안네프랑크와의 근접 통과 (3079km)[15]
2004년 1월 2일빌트 2와의 근접 통과 (240km), 상대 속도는 6.1km[33]
2006년 1월 15일표본 회수 캡슐 지구 귀환
2011년 2월 15일템펠 1과의 근접 통과 시작 (181km)[32]
2011년 3월 24일임무 종료


3. 1. 발사 및 궤도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1999년 2월 7일 협정 세계시 21시 4분 15초에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발사장 17A에서 델타 II 7426호로 스타더스트를 발사했다.[15] 발사 후 27분 동안 모든 분사 절차가 진행되어 탐사선은 태양 주위 궤도에 진입했다. 이 궤도에서 2001년 지구 중력 도움을 받아 2002년에는 소행성 안네프랑크를, 2004년에는 빌트 2를 초속 6.1km의 낮은 속도로 통과했다.[13][15]

2004년, 탐사선은 2006년에 보너빌호 지역으로 표본 캡슐을 보내기 위해 궤도를 조정하고 캡슐을 분리했다.[13][15] 캡슐 분리 직후, 스타더스트는 "착륙 기동" 상태에 들어가 탐사선이 대기권으로 다시 진입하지 않도록 궤도를 변경했다. 당시 탐사선에는 20kg 미만의 추진제가 남아 있었다.[15]

2004년 1월 19일부터 탐사선은 태양 전지판과 통신기를 최대 절전 모드로 전환했다. 이는 3년 동안 태양 중심 궤도를 돌다가 2009년 1월 14일 다시 지구 근처에 올 때를 대비한 조치였다.[15][28]

2007년 11월 3일, 템펠 1을 근접 통과하며 탐사선의 모든 장치를 다시 사용하겠다는 연장 계획(NExT)이 승인되었다. 이는 태양계 소천체를 다시 방문하는 첫 사례로, 남은 연료를 모두 소진한 후 탐사선을 폐기할 예정이었다.[29]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rgin-left:1em;"

! colspan="2" | 임무 시간표[15][30]

|-

|

{| class="wikitable"

|-

! scope="col" style="width:100px;"| 날짜

! scope="col" style="width:350px;"| 사건

|-

| 1999-02-07

| 협정 세계시 21:04:15에 탐사선 발사

|-

| 2000-05-01

| 표본 수집 시험 가동

|-

| 2000-11-15

| 지구에서의 중력 도움

시간사건
2001-01-15
11:14:286000 k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지구와 가장 가깝게 접근했다. 남동 아프리카의 남쪽 끝 지점을 통과했다.[31]
2001-02-15단계 종료



|-

| 2002-04-18

| 우주 개발의 새로운 기록 달성:
태양 전지로 가동되는 물체 중 가장 멀리 나아감
(2.72 천문단위)

|-

| 2002-11-02

| 5535 안네프랑크와의 근접 통과

시간사건
2002-11-02
4:51:20안네프랑크에 3079km까지 접근
2002-11-05단계 종료



|-

| 2004-01-02

| 빌트 2와의 근접 통과

시간사건
2003-12-24
표본 채집기 펼쳐짐
2004-01-02
13:49:00자체 컴퓨터의 "통과 절차" 시작
14:19:00혜성 및 성간 먼지 분석기 작동
17:19:00탐색용 카메라가 접근 사진을 촬영함
18:19:00탐색용 카메라가 접근 사진을 촬영함
19:04:00먼지 유출 모니터링 기기가 켜짐
19:12:00자료 전송 중단, 반송 신호만 전송
19:13:00마지막으로 롤 방향으로 움직여 근접 통과의 방향 조절
19:21:28240km의 거리로 빌트 2와의 최대 근접
19:25:00탐색용 카메라가 가장 높은 주파수 영상의 기간 종료
19:25:00롤 방향으로 움직여 탐사선을 근접 통과 방향에서 벗어나게 함
19:26:00반송 신호 이외의 자료 전송 재개
19:27:00탐색용 카메라가 마지막 사진을 찍어 보냄
19:29:00탐색용 카메라 꺼짐
19:36:00사진 전송 시작, 먼지 유출 자료 모니터
2004-01-03
13:19:00혜성 및 성간 먼지 분석기 순항 모드로 설정
13:19:00컴퓨터의 "통과 절차" 종료
2004-02-21단계 종료



|-

| 2006-01-15

| 표본 회수 캡슐 지구 귀환

시간사건
2006-01-15
09:57:00표본 회수 캡슐 대기권 재진입
2006-01-16단계 종료



|-

| 2011-02-15

| 템펠 1과의 근접 통과 시작

시간사건
2011-02-15
03:45:40진입 자세로 탐사선 자세 변환
04:28:07AUTONAV 사진 촬영 시작
04:53:07사진을 찍는 자세로 탐사선 자세 변환
04:54:0872개 중 첫 번째 사진이 찍힘
04:58:0804시 39분에 템펠 1 혜성에서 181 km 떨어진 곳을 지남[32]
05:01:5872개 중 72개의 사진이 찍힘
05:55:46지구 쪽으로 회전
06:05:55고이득 안테나 설정 / 초당 15,800 바이트
07:52:22사진 전송 추정 시작
2006-02-16단계 종료



|-

| 2011-03-24

| 임무 종료

시간사건
2011-03-24
23:00:00남아 있는 연료 소진 시작
23:33:00통신기 전원 비활성화
2011-03-24단계 종료



|}

|}

3. 2. 안네프랑크와의 만남

2002년 11월 2일 협정 세계시(UTC) 4시 50분 20초, 스타더스트소행성 안네프랑크에서 3079km 떨어진 곳을 지났다. 관측 기간 동안 태양 위상각은 130도에서 47도 사이였다. 이 만남은 빌트 2 혜성과의 만남을 대비하여 탐사선과 지상 장비를 점검하기 위해 이용되었다.[15]

3. 3. 빌트 2와의 만남

2004년 1월 2일 협정 세계시 19시 21분 28초, 스타더스트빌트 2에 접근했다.[33] 상대 속도는 6.1km였고, 태양 쪽을 향해 237 km 거리를 두고 통과했다. 원래 접근 거리는 150 km였지만, 먼지와의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성 심의 위원회에서 접근 거리를 증가시켰다.[15]

혜성과 탐사선의 상대 속도는 혜성이 탐사선을 뒤에서 따라잡는 방식이었다. 탐사선이 빌트 2 혜성과 만났을 때, 혜성에서 태양빛을 받는 지역에 있었고, 태양의 위상각은 평균 70도였으며, 최소 3도에서 최대 110도까지 변했다.[15]

탐사선은 근접 통과를 하는 동안 코마에서 먼지 입자 표본을 채취하기 위해 표본 수집판을 열고, 부분의 상세한 사진을 찍었다.[34]

최대 접근 시 촬영한 빌트 2 혜성의 사진

3. 4. 템펠 1을 향하는 새로운 탐사 계획 (NExT)

2006년 3월 19일, 스타더스트 계획 과학자들은 2005년 딥 임팩트가 임팩터를 충돌시킨 템펠 1 혜성에 탐사선을 보내는 2차 미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29] 딥 임팩트는 충돌로 발생한 먼지 때문에 혜성 표면에 형성된 크레이터의 선명한 영상을 포착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문제는 중요했다.

2007년 7월 3일, '''템펠 1 새로운 탐사'''(NExT)로 명명된 연장 미션이 승인되었다.[29] 이로써 혜성 핵이 태양에 접근한 후의 변화를 최초로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 NExT는 또한 이미 대부분 매핑된 템펠 1 혜성 핵의 나머지 부분 매핑을 수행하여, 표면 물질이 액체나 미립자처럼 유동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의 영상을 포착함으로써 혜성 핵의 "지질학"에 대한 주요 문제의 단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 비행 임무는 거의 모든 잔여 연료를 소모하여 우주선의 작동 종료를 알릴 것으로 예상되었다.[29]

3. 4. 1. 목적

임무 배지


우주선이 임무를 종료하기 위해 부스터를 점화하여 연료를 소진하는 모습
아티스트가 그린 ''스타더스트'' 우주선이 ''스타더스트 NExT'' 미션 종료 시점에 연료를 소진하기 위해 점화하는 모습


스타더스트의 주요 목적은 빌트 2 혜성템펠 1 혜성을 탐사하는 것이었다.[15] 빌트 2 혜성 탐사는 태양에 근접한 장주기 혜성을 관찰할 드문 기회였다.[13] 혜성의 궤도가 1974년 목성의 중력에 영향을 받아 안쪽으로 바뀌면서 단주기 혜성이 되었기 때문이다.

스타더스트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6.5km 이하의 속도로 혜성에 접근하여 에어로젤 수집기로 먼지를 채집한다.
  • 최저 속도로 이동하며 에어로젤 수집기를 통해 성간 우주먼지를 채집한다.
  • 가능한 많이 혜성 핵과 코마의 고해상도 사진을 전송한다.


2006년 3월, 과학자들은 2005년 딥 임팩트가 충돌시킨 템펠 1 혜성을 다시 탐사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딥 임팩트가 충돌로 발생한 먼지 때문에 충돌 지점의 사진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2007년 7월, '템펠 1을 향하는 새로운 탐사'(NExT)로 명명된 확장 임무가 승인되었다.[29] 이 탐사는 혜성이 태양에 가까이 접근한 후 발생하는 변화를 관찰하고, 템펠 1의 지도를 작성하여 혜성 핵의 지질학적 의문점을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29]

NExT 임무의 주요 목표와 부수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35]

;주요 목표

  • 태양 주변을 두 번 통과한 템펠 1 혜성의 궤도 변경 내용을 구체화하여 혜성 핵 표면에 영향을 끼치는 과정의 이해도를 확장한다.
  • 혜성의 핵과 형성에 관한 구조 이론을 구체화하고 내부 층의 범위와 성질을 규명하기 위해 템펠 1 혜성의 지도 작성 작업을 연장한다.
  • 퇴적물의 원활한 흐름 여부와 노출된 얼음의 연구를 확장한다.


;부수적 목표

  • 2005년 7월 딥 임팩트에 의해 생긴 충돌구의 사진을 찍어 특징과 구조, 기계적 특성을 이해하여 충돌구의 형성 과정을 규명한다.
  • 먼지 유출 모니터링 기기를 사용해 코마 내의 먼지의 분포와 밀도를 측정한다.
  • 혜성과 성간 먼지 분석 기기를 사용해 코마 내 먼지의 밀도를 분석한다.


NExT는 2011년 2월 14일에 템펠 1 혜성을 플라이바이하여, 임팩터를 충돌시킨 지점의 사진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그 결과, 템펠 1 혜성에는 직경 150m의 크레이터가 임팩터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밝혀졌다.

3. 5. 템펠 1과의 만남

2011년 2월 15일 UTC 04시 42분 0초에 스타더스트-NExT 탐사선은 템펠 1에서 181km 떨어진 곳을 지나쳐 갔다. 약 72개의 사진을 보내 왔으며, 딥 임팩트의 충돌로 인한 지형 변화와 딥 임팩트에서 보이지 않았던 혜성의 구조를 밝혔다.[36] 딥 임팩트의 충돌 지역도 관찰되었는데, 충돌로 뿜어져 나온 물질이 다시 내려앉으면서 겨우 볼 수 있을 수준이었다.[37]

스타더스트-NExT 탐사선이 템펠 1로부터 가장 가까울 때 찍은 사진


"충돌 전후". 왼쪽이 딥 임팩트에 의해 찍힌 사진이고 오른쪽이 스타더스트에 의해 찍힌 사진이다. 충돌구의 모습이 보인다


2006년 3월 19일, 스타더스트 계획의 과학자들은 2005년에 딥 임팩트가 임팩터를 충돌시킨 템펠 1 혜성에 탐사선을 보내는 2차 미션의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고 있음을 발표했다. 딥 임팩트는 충돌로 발생한 먼지의 영향으로 혜성 표면에 형성된 크레이터의 선명한 영상을 포착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가능성은 중요한 것이었다.

2007년 7월 3일, '''템펠 1 새로운 탐사'''(NExT)로 명명된 연장 미션이 승인되었다. 이를 통해, 혜성 핵이 태양에 접근한 후의 변화를 최초로 관측하게 되었다. NExT에서는 또한, 이미 대부분 매핑된 템펠 1 혜성 핵의 나머지 부분 매핑을 수행했다. 이 매핑으로 표면의 물질이 액체 또는 미립자처럼 유동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장소의 영상을 포착함으로써, 혜성 핵의 "지질학"에 대한 주요 문제의 단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NExT는 2011년 2월 14일에 템펠 1 혜성을 플라이바이하여, 임팩터를 충돌시킨 지점을 포함한 지점의 사진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그 결과, 템펠 1 혜성에는 직경 150m의 크레이터가 임팩터에 의해 만들어진 것 등이 밝혀졌다.

4. 확장된 임무의 종료

2011년 3월 24일, 스타더스트는 남은 연료를 모두 소진하기 위해 엔진을 분사했다. 탐사선에는 약간의 연료가 남아 있었고, 과학자들은 탐사선의 연료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고자 했다. 정보를 모두 얻은 후에는 안테나를 조종할 수 없어 통신기의 전원을 껐다. 탐사선은 3.12억km 떨어진 우주 공간에서 마지막 확인 신호를 보냈다.[38]

5. 표본 회수

2006년 1월 15일 협정 세계시(UTC) 05시 57분, 표본 회수 캡슐(SRC)이 스타더스트 본체와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 09시 57분, 캡슐은 지구 대기권에 진입했는데, 그 속도는 46440km/h로, 이는 인공 물체가 지구 대기권에 진입한 속도 중 가장 빠른 기록이었다.[39] 캡슐은 110초 동안 마하 36의 속도에서 아음속으로 감속하는 급격한 재진입 과정을 거쳤다.[39] 최대 가속도는 34''g''에 달했고,[40] 재진입 중 40초 동안 네바다주 스프링크리크 상공 55 km 지점을 통과했다.[39] 밀도 탄소 패널 열 차폐막은 이 과정에서 온도가 2,900 °C까지 상승했다.[41]

최종적으로 캡슐은 협정 세계시 10시 10분에 유타주 실험 및 교육 지역()에 착륙했다.[42] 이 지역은 미국 육군 소속 생화학 병기 실험소와 가까운 곳이었다. 이후 캡슐은 유타에서 텍사스주 휴스턴의 엘링턴 공군 기지로 군용 항공기를 통해 옮겨졌고, 다시 존슨 우주 센터의 행성 물질 큐레이터 시설로 이송되어 분석이 시작되었다.[15] NASA 관계자는 보안 위협이 없더라도 자료를 "신중히" 비밀스럽게 전송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15]

회수팀이 본 착륙 캡슐

5. 1. 표본 처리

표본 용기는 일반 병원 청정실의 100배 정도로 깨끗한 곳에서 분석되었는데, 이로 인해 혜성 먼지와 항성간 먼지가 오염되지 않았다.[43] 약 100만 개의 현미경으로 봐야 보이는 미시 먼지들이 에어로젤 수집기에 들어 있다고 생각되었으며, 먼지들은 크기가 적어도 100 마이크로미터(0.1 mm)였고, 가장 큰 것은 1000 마이크로미터(1 mm)였다. 약 45개의 성간 먼지 충돌 흔적도 수집기의 뒷면에서 발견되었다. 먼지 입자는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인 Stardust@Home을 통해 자원 봉사 형식으로 분석되고 있다.

2006년 12월, 사이언스 저널에 표본 분석 초기 상황에 대한 논문 일곱 편이 실렸다. 조사 결과,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질소를 포함해서 2종류의 유기 화합물이 광범위하게 발견되었다. 확산된 성간 매질보다 더 긴 사슬을 가지고 있는 고유의 지방족 탄화수소가 있었다. 비정질 규산염감람석이나 휘석을 결정화시킨다. 이전에 분광학을 이용해 추론되었던 태양계 물질과 성간 물질의 혼합의 일관성을 증명했다.[44] 수화 규산염이나 탄산염 같은 광물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는 혜성 먼지가 물이 없는 상태였음을 나타냈다. 제한된 양의 순수한 탄소 또한 표본에서 발견되었다. 메틸아민에틸아민도 에어로젤에서 발견되었지만, 특정 입자와는 관계가 없었다.

2010년 앤드류 웨스트팔 박사는 Stardust@Home의 자원 봉사자인 브루스 허드슨이 에어로젤에 먼지가 파고들면서 나오는 궤적(찍힌 사진의 번호는 "I1043,1,30"이었다)중에서 성간 먼지 입자가 들어있을 수도 있다는 점을 발표했다.[45] 모든 자원 봉사자의 발견이 인식되어서 자동으로 이름이 부여되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허드슨은 자신의 발견을 "오리온"(Orion)이라고 이름을 붙였다.[46]

2011년 4월, 애리조나 대학교의 과학자들은 빌트 2 혜성에 액체 물이 존재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철과 황화 구리가 발견되었으며, 이 광물들은 물이 존재할 때 생겨난다. 이 발견은 혜성이 결코 자신에게 있는 얼음을 녹일 정도로 따뜻하지 않다는 기존의 이론을 무너트렸다.[47] 2014년 봄, 스타더스트에서 성간 먼지 입자가 회수되었다고 발표되었다.[48]

6. 결과

혜성 표본은 초기 태양계 외부 지역이 고립되지 않았으며, 성간 먼지가 살아남을 수 있는 피난처가 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49] 자료는 고온의 태양계 내부에서 물질들이 생겨나 카이퍼 대 지역으로 옮겨갔음을 나타냈다.[50]

6. 1. 글라이신

2009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과학자들이 혜성에서 생명의 기본적인 화학 구성 요소 중 하나인 글리신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글리신은 2004년 혜성 와일드 2에서 분출되어 ''스타더스트'' 탐사선에 포획된 물질에서 검출되었다. 운석과 성간 가스 구름에서 글리신이 발견된 적은 있었지만, 혜성 물질에서 발견된 것은 ''스타더스트''의 발견이 처음이다. 동위원소 분석은 후기 대폭격이 지구가 합쳐진 후 생명이 진화하기 전에 혜성 충돌을 포함했음을 나타낸다. NASA의 천체생물학 연구소 소장인 칼 필처는 "혜성에서 글리신의 발견은 생명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우주에 널리 퍼져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하며, 우주 생명이 희귀하기보다는 흔할 수 있다는 주장을 강화한다."라고 언급했다.

참조

[1] 웹사이트 NASA Spacecraft Returns With Comet Samples After 2.9 Bln Miles http://www.bloomberg[...] bloomberg.com 2008-03-04
[2] 웹사이트 Spacecraft bringing comet dust back to Earth https://edition.cnn.[...] cnn.com 2008-03-04
[3] 웹사이트 STARDUST http://www.extrasola[...] extrasolar-planets.com 2008-03-04
[4] 웹사이트 NASA's Comet Tale Draws to a Successful Close in Utah Desert http://stardust.jpl.[...] nasa.gov 2008-03-04
[5] 뉴스 太陽系外由来の宇宙塵、探査機サンプル中に7個特定か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4-08-15
[6] 웹사이트 Stardust Put In Hibernation Mode http://www.space.com[...] space.com 2008-03-04
[7] 뉴스 彗星探査機「スターダスト」、運用終了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11-03-26
[8] 뉴스 NASA Spacecraft Returns With Comet Samples After 2.9 Bln Miles http://www.bloomberg[...] 블룸버그 L.P. 2006-01-15
[9] 웹인용 Stardust Discovers Potential Interstellar Space Particles http://www.jpl.nasa.[...] 2014-08-14
[10] 뉴스 Specks returned from space may be alien visitors http://apnews.excite[...] 2014-08-14
[11] 저널 Seven grains of interstellar dust reveal their secrets http://news.sciencem[...] 2014-08-14
[12] 저널 Evidence for interstellar origin of seven dust particles collected by the Stardust spacecraft
[13] 보도자료 Stardust Launch http://www2.jpl.nasa[...] NASA 2011-02-13
[14] 웹인용 Comets & The Question of Life http://stardust.jpl.[...] NASA 2008-03-04
[15] 웹인용 Mission Information - STARDUST http://starbrite.jpl[...] NASA 2011-02-14
[16] 웹인용 Stardust Flight System Description http://stardust.jpl.[...] NASA 2011-02-14
[17] 저널 Stardust Imaging Camera 2003-10-14
[18] 웹인용 Imaging and Navigation Camera http://nssdc.gsfc.na[...]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19] 저널 Cometary and Interstellar Dust Analyzer for comet Wild 2
[20] 웹인용 Cometary and Interstellar Dust Analyzer (CIDA) http://nssdc.gsfc.na[...]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21] 저널 Dust Flux Monitor Instrument for the ''Stardust'' mission to comet Wild 2
[22] 웹인용 Dust Flux Monitor Instrument (DFMI) http://nssdc.gsfc.na[...]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23] 저널 Wild 2 and interstellar sample collection and Earth return
[24] 웹인용 Stardust Sample Collection http://nssdc.gsfc.na[...]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25] 저널 Dynamic science on the Stardust mission
[26] 웹인용 Dynamic Science http://nssdc.gsfc.na[...] NASA /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2-19
[27] 웹인용 Seven samples from the solar system's birth http://phys.org/news[...] Phys.org 2014-04-28
[28] 웹인용 Stardust Put In Hibernation Mode http://www.space.com[...] Space.com 2008-03-04
[29] 웹인용 Stardust/NExT - Five Things About NASA's Valentine's Day Comet http://www.nasa.gov/[...] NASA 2015-04-11
[30] 보도자료 Mission Timeline http://www.nasa.gov/[...] NASA 2015-04-11
[31] 웹인용 Stardust can see clearly now - just before Earth flyby http://stardust.jpl.[...] JPL, NASA 2011-09-24
[32] 뉴스 Stardust Spacecraft Completes Comet Flyby http://www.spaceref.[...] 2011-02-15
[33] 뉴스 Spacecraft bringing comet dust back to Earth http://www.cnn.com/2[...] CNN 2006-01-13
[34] 웹인용 STARDUST http://www.extrasola[...] Extrasolar-Planets 2008-03-04
[35] 보도자료 Stardust-NExT http://www.jpl.nasa.[...] NASA 2015-04-11
[36] 웹인용 Image Gallery http://www.nasa.gov/[...] NASA 2011-02-16
[37] 뉴스 Crater on comet 'partly healed itself' http://www.cnn.com/2[...] 2011-02-16
[38] 웹인용 NASA Stardust Spacecraft Officially Ends Operations http://www.nasa.gov/[...] NASA 2011-04-10
[39] 웹인용 Stardust Reentry Simulation https://www.youtube.[...] Evelyn Fledrich 2013-09-13
[40] 웹인용 Stardust—An artificial, low-velocity "meteor" fall and recovery: 15 January 2006 http://onlinelibrary[...] The Meteoritical Society
[41] 웹인용 Spectroscopic Observation of the Stardust Re-Entry in the Near UV with SLIT: Deduction of Surface Temperatures and Plasma Radiation http://ntrs.nasa.gov[...] NASA
[42] 웹인용 NASA's Comet Tale Draws to a Successful Close in Utah Desert http://stardust.jpl.[...] NASA 2008-03-04
[43] 웹인용 Stardust's Cargo Comes to Houston under Veil of Secrecy http://www.chron.com[...] chron.com 2008-03-04
[44] 웹인용 The building blocks of planets within the 'terrestrial' region of protoplanetary disks http://ukads.notting[...] University of Nottingham 2008-03-04
[45] 뉴스 Probe may have found cosmic dust http://news.bbc.co.u[...] 2010-03-05
[46] 콘퍼런스 Analysis of "Midnight" Tracks in the Stardust Interstellar Dust Collector: Possible Discovery of a Contemporary Interstellar Dust Grain http://www.lpi.usra.[...] 41st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47] 웹인용 Evidence for liquid water on the surface of Comet Wild-2 http://earthsky.org/[...] 2011-04-07
[48] 웹인용 Stardust Interstellar Dust Particles http://curator.jsc.n[...] JSC, NASA 2014-03-25
[49] 저널 The Stardust Mission: Analyzing Samples from the Edge of the Solar System http://www.annualrev[...] 2014-02-05
[50] 저널 Constraints on the Formation Age of Cometary Material from the NASA Stardust Mission http://www.sciencema[...] 2010-04-23
[51] 저널 Source regions and timescales for the delivery of water to the Earth 2010-02
[52] 뉴스 'Life chemical' detected in comet http://news.bbc.co.u[...] 2009-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